Editor 주영찬 Career International Chess Federation rating 보유
체스잘하는법 이 궁금한 친구들, 안녕하세요? 꾸그의 대표 체스 선생님, 영찬쌤입니다!
이번 글은 먼저 사진부터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이건 선생님이 가지고 있는 책을 찍은 거에요. 보기만 해도 암호문 같고 복잡한데요,
도대체 저 숫자랑 알파벳은 뭘까요?
체스를 잘 하고 싶나요? 저 사진에 나오는 체스기보 를 읽고 쓸 줄 알아야 체스실력 이 부쩍 늘지요!
분명히 사진 보고 ‘으악! 이게 뭐야! 어려울 것 같아!’ 라고 생각했을 거예요.
걱정하지 마세요!
이 글을 끝까지 읽고 나면 위에 있는 사진을 술술 이해하고
나도 사진에 나온 것과 같이 체스기보 를 작성하는 법을 터득하게 될 거예요!
레쭈고!
목차
- 체스잘하는법, ‘기보’를 알아야 한다!
- 체스기보 에 꼭 들어가야 하는 세 가지
- 특별한 움직임 표현하기
- 헷갈리지 않게 도와주는 체스기보
- 체스기보 한눈에 보기

1. 체스잘하는법, ‘기보’를 알아야 한다!
체스에서 기보의 뜻
기보는 어떻게 게임을 했는지 간단하게 기록하는 것을 뜻해요.
실전에서 어떻게 좋은 수를 둘 지 공부하려면 다른 사람들의 게임이나 책을 보고 배워야해요. 또는 나보다 더 잘하는 사람에게 배우기도 해야 하지요.
이때 꼭 알고 있어햐는 것이 체스기보 입니다.
기보를 이해하면 체스 실력이 한 단계 성장할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누구와도 (외국인과도!) 체스 언어로 이야기할 수 있게 된답니다.
체스잘하는법 이 궁금하다면 기보는 필수로 익혀야 해요!
체스기보 는 언뜻 보면 굉장히 복잡하고 어려워보이지만, 걱정마세요!
영찬쌤이 체스기보 읽고 작성하는 방법 을 차근차근 설명해 줄게요.
체스 칸의 이름, 좌표

체스보드는 가로 여덟 칸, 세로 여덟 칸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모두 64칸이 있습니다.
그런데 각각의 칸마다 이름이 있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한 칸 한 칸 이름을 외울 수도 있지만 이름을 만들어줄 수 있다면 하나 하나 외울 필요가 없답니다!
(1) 랭크(Rank)

체스에서는 가로를 랭크(rank)라고 불러요.
백 입장에서 1랭크는 가장 아래에 있어요.
1랭크인 초록색 화살표부터 시작해서 차근 차근 올라가
빨간색 화살표는 8랭크가 됩니다.

흑 입장으로 돌리면 1랭크가 위로 올라가네요!
초록색 화살표는 1랭크,
빨간색 화살표는 8랭크가 돼요.
흑 입장에서 8랭크는 가장 아래에 있군요.
(2) 파일(File)

세로는 파일(file)이라고 부른답니다.
백 입장에서 가장 왼쪽이 a파일이 됩니다.
그래서 초록색 화살표는 a파일, 그 옆의 세로는 b파일, …,
마지막 빨간색 화살표는 h파일이 됩니다!

흑 입장으로 돌리면
가장 오른쪽 초록색 화살표가 a파일,
가장 왼쪽 화살표가 h파일이 돼요.
(3) 좌표 = 파일+랭크
이제 우리는 칸 이름을 만들어줄 수 있어요. 칸의 이름을 좌표라고 불러요.
백 입장과 흑 입장에서 좌표를 볼 때 헷갈리지 않아야 해요!
좌표는 파일과 랭크를 합치면 된답니다.

초록색 동그라미가 그려져있는 칸의 이름을 지어보겠습니다!
초록색 동그라미는 d파일에 있습니다.
그리고 4랭크에 있네요!
그렇다면 이 칸의 이름은 d4가 됩니다.
눈치를 채셨나요?
다시 한 번 해볼게요.

이번엔 파란색 동그라미가 그려져 있는 좌표를 찾아볼까요?
f파일에 있고, 7랭크에 있습니다!
그렇다면 좌표는?
그렇습니다! f7이 된답니다.
그래서 64칸의 좌표를 전부 다 써보면 이렇게 돼요.

많이 하다보면 외워지는데, 일단 우리 꾸그 친구들은 영찬쌤이 알려준 방법으로 칸의 이름을 지어주며 친해져보세요!
일주일 정도 너는 c5야! 너는 f2야! 하면서 연습하다보면
어느새 보자마자 이름을 불러줄 수 있답니다.
좌표를 안다면
체스잘하는법 ‘기보’ 익히기, 벌써 반 정도 끝난 겁니다!
2. 체스기보 에 꼭 들어가야 하는 세 가지
기보에는 다음 3가지가 꼭 들어가야 해요.
체스 기보 , 꼭 들어가야 하는 3가지
- 몇 번째 수인지 (숫자)
- 어떤 기물을 움직였는지 (기물 이름)
- 어디로 움직였는지 (좌표)
그래서 기보는 숫자 + 기물 이름 + 좌표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체스 기물 표기 방법
기물은 가장 앞 글자만 따서 표기합니다.
- King (왕) : K
- Queen (여왕) : Q
- Rook (룩) : R
- Bishop (비숍) : B
- Knight (나이트) : N
폰은 졸병이라서 이름을 불러주지 않아요!
폰은 활약할 때만 이름을 불러준답니다.
그럼 바로 기보를 써보러 가볼까요?
체스기보 작성 예시

백이 첫 번째 수로 킹 앞의 폰을 두 칸 올렸습니다!
- 몇 번째 수인가? : 1
- 어떤 기물을 움직였나? : 폰
- 체스보드 상 좌표 : e4
기보를 쓰면 1.e4 가 됩니다.
폰은 이름을 써주지 않으니까요!

흑도 첫 번째 수로 킹 앞의 폰을 두 칸 밀었어요!
흑은 이미 백의 수를 기보로 쓸 때
몇 번째 수인지 밝여뒀으니 따로 적어주지 않습니다.
- 몇 번째 수인가? : 1 (→ 백의 수를 기보로 쓸 때 앞서 밝혔음)
- 어떤 기물을 움직였나? : 폰 (→이름을 쓰지 않음)
- 체스보드 상 좌표 : e5
여기까지 기보는 1.e4 e5 입니다.

백이 두 번째 수로 나이트를 f3로 전개했습니다!
- 몇 번째 수인가? : 2
- 어떤 기물을 움직였나? : 나이트
- 체스보드 상 좌표 : f3
기보는 1.e4 e5 2.Nf3 가 됩니다.

흑도 두 번째 수로 나이트를 c6로 전개했습니다.
- 몇 번째 수인가? : 2 (→ 앞에서 백이 두 번째 수임을 썼으니 따로 쓸 필요 없음)
- 어떤 기물을 움직였나? : 나이트
- 체스보드 상 좌표 : c6
기보는 1.e4 e5 2.Nf3 Nc6 로 쓸 수 있습니다.

만약, 백이 아니라 흑 차례부터 기보를 쓴다면,
백이 뒀는지 흑이 뒀는지 구분하기 위해 숫자 뒤에 … 을 붙여줍니다.
사진을 보면 흑이 8번째 수로 퀸을 움직였어요.
이때 8…Qe7 이라고 써주면 된답니다!
그러면 ‘아~ 흑이 여덟 번째 수로 퀸을 e7 으로 움직였구나!’ 하고 알게 되는 거예요.
굉장히 쉽지요?
3. 특별한 움직임 표현하기
체스에는 기물이 단순히 움직이는 수만 있지 않지요.
상대방의 기물을 잡을 수도 있고, 캐슬링이나 프로모션 같은 특별한 수도 할 수 있어요.
이런 특별한 움직임은 기보로 어떻게 표현할까요?
1) 기물 잡기

백이 아홉 번째 수로 나이트로 h4에 있는 비숍을 잡았습니다!
기물을 잡을 때는 기물과 좌표 사이에 x를 넣어주면 됩니다.
x 가 기물을 잡았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이 수를 기보로 표현하면,
9.Nxh4 가 됩니다.
왜 비숍을 잡았는데도 좌표만 써져있냐고요?
기보를 첫 수부터 차근 차근 잘 따라왔다면 그 칸에 어떤 기물이 있었는지 누구나 알 수 있기 때문에 어떤 기물을 잡았는지는 굳이 쓸 필요가 없기 때문이에요.
그럼 폰이 기물을 잡으면 어떻게 쓸까요?

53수에 흑 폰이 룩을 잡았습니다!
이 경우에는 체스 기보 를 작성할 때
53…xe5 로 쓰지 않습니다.
폰이 상대방의 기물을 잡는 활약을 했으니 특별하게 언급해줍시다.
f파일에 있던 폰이라서 f폰이라고 부릅니다. 그래서
53…fxe5 라고 써줍니다.
여전히 폰이라고 불러주지는 않네요! 불쌍한 졸병의 신세…
4) 프로모션

폰이 32번째 수로 g8으로 도착해서 퀸으로 프로모션을 했습니다!
일단 폰이 g8으로 갔으니
32.g8 이라고 써줍니다.
프로모션을 표시할 때는 = 이라고 쓰고
그 뒤에 프로모션한 기물을 써주면 돼요.
32.g8=Q 으로 써주면 되겠네요.
3) 캐슬링
캐슬링(Castling)은, 체스규칙에 따라
한 턴에 킹과 룩을 동시에 움직이는 특수한 수인데요.

캐슬링은 룩과 킹 사이의 거리를 표현해주면 돼요.
킹사이드 캐슬링은 0-0,
퀸사이드 캐슬링은 0-0-0으로 써줍니다.
4) 앙파상
앙파상(En Passant)은, 체스규칙에 따라
폰으로 상대 폰을 잡을 때 사용하는 특수한 수입니다.

앙파상은 평상시와 똑같이 써준답니다.
백 폰이 18번째 수로 e4로 두 칸 움직였습니다.
흑이 그 다음 수에 e4 폰을 잡았는데요.
이렇게 되면 18.e4 dxe3 로 써주면 된답니다.
4) 체크

이번에는 흑이 여섯 번째 수로 퀸이 e4에 있는 폰을 잡고 킹을 체크했습니다.
체크는 기보로 쓸 때 +로 표현합니다.
6…Qxe4+ 로 써주면 되겠네요.
6) 체크메이트

백의 29번째 수입니다.
체크메이트는 #이라고 써줍니다.
그래서 29.Rb8# 라고 적어주면 된답니다!
7) 승패의 표기
백이 체크메이트를 했으니 백이 이겼지요?
체스는 항상 백이 먼저 두니까
결과도 백 – 흑으로 써줍니다.
이기면 1점을 가져가니
1 – 0 으로 써주면 됩니다.
만약 흑이 이겼다면 0 – 1 로,
비겼다면 ½ – ½ 로 써주면 돼요!
체스 게임 결과 승패 기록 표기 법
- 백 승리: 1 – 0
- 흑 승리: 0 – 1
- 비김: ½ – ½
4. 헷갈리지 않게 도와주는 친절한 기보
체스기보 방법을 쭉 살펴보았는데요.
가끔 어떤 기물로 움직였는지 헷갈릴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금과 같은 상황인데요. 백이든 흑이든 모두 27번째 수라고 가정할 거예요.
먼저, 초록색 화살표를 우리가 알고 있는 방식으로 쓴다면
27.Ra3 라고 씁니다.
- 몇 번째 수인가? : 27
- 어떤 기물을 움직였나? : 룩
- 체스보드 상 좌표 : a3
그런데 이렇게만 쓰면
a1에 있는 룩으로 움직였는지,
a5에 있는 룩이 움직였는지 헷갈리게 됩니다.
이럴 때는 조금 더 자세히 써줘야해요.
a1룩은 1랭크, a5에 있는 룩은 5랭크에 있으니
랭크를 좀 더 자세하게 구분해줍니다.
그래서
27.R1a3 라고 써줍니다.

그럼 파란색 화살표는 어떻게 쓸까요?
27…Rc8 이라고 쓰면 어떤 룩이 움직였는지 알 수가 없어요.
이번에는 룩이 같은 8랭크에 있지만 파일이 다르네요. 그래서
27…Rec8이라고 써서 구분해주면 됩니다!

그럼 노란색 화살표는 어떻게 쓸까요?
맞은 사람도 있고 헷갈려하는 사람도 있는 것 같네요~!
정답은 바로,
27.Qh4e1 으로 써주면 된답니다!
같은 랭크에 있는 퀸도 있고, 같은 파일에 있는 퀸도 있으니
랭크와 파일 전부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준 거예요.

이제 꾸그 친구들이 맞춰보세요.
그렇습니다! 모두 맞춘 것 같네요!
정답은
27…Nce7 입니다.
5. 체스기보 한눈에 보기
오늘 체스잘하는법 으로 다룬 기보 종내용이 많아서 정리해 보았어요.
- 좌표 : 파일 + 랭크
- 기보 : 숫자 + 기물 이름 + 좌표
- 흑 차례 : …
- x : 기물을 잡았다.
- = : 프로모션
- 0-0 : 킹사이드 캐슬링
- 0-0-0 : 퀸사이드 캐슬링
- + : 체크
- # : 체크메이트
- 1-0 : 백 승리
- 0-1 : 흑 승리
- ½-½ : 무승부
이렇게 체스 기보 를 전부 알아보았습니다.
체스 기보 를 읽고 쓰는 것이 익숙해지면 게임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체 체스 기보를 활용해 체스 실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보세요~!
체스 실력 높이는 법, 더 많이 알고 싶으신가요?
체계적으로 체스잘하는법 하나하나씩 배워나가고 싶으신가요?
체스닷컴 rapid rating 상위 1프로인 영찬쌤의 온라인 라이브 클래스를 만나보세요.
▶ 체스 왕초보에서 프로선수가 되기까지! 영찬쌤의 체스 아카데미 정규 수업
다음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 가입만 해도 첫 수업이 무료!
- 가입 즉시 무료 수강권이 포함된 쿠폰팩을 드려요.
- 전문 에디터가 작성하는 교육 노하우와 팁을 담은 글이 매주 업데이트됩니다.
- 꾸그 선생님이 전하는 교육 철학과 수업 내용까지, 다양한 글을 꾸그에서 살펴보세요.